아임'준
[파이썬 기초] 파이썬의 자료형 본문
파이썬 / Python / 자료형
*해당 글에 있는 코드들은 모두 복사해서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두었습니다. 주석만 보고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코드를 복사해서 직접 실행하며 그 결과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면 더 도움이 될것입니다. 물론 그냥 복사 붙여넣기 하는 것보다 본인이 직접 코드를 타이핑하는 것이 이해와 후에 사용할 때에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니 이 점 명심하고 공부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이썬 첫 기초 포스팅을 시작하겠다.
나는 C언어를 파이썬보다 먼저 공부하였기에 C언어와의 비교가 조금 섞여있을테지만 C언어를 공부하지 않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읽는데에 불편함은 없을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당신이 C언어를 먼저 공부하고 파이썬을 공부하기 시작하였다면 파이썬이 훨씬 더 쉽고 재미있게 느껴질 것이다.
프로그래밍 공부를 시작하면 당연히 그 언어에 어떤 자료형이 있고 그 자료형은 어떻게 쓰는 것인지 알아야 할 것이다. 오늘은 파이썬에는 어떤 자료형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라고 한다면 변수는 저장된 값을 바꿀 수 있는 것이라고 하며 상수라고 하면 저장된 값을 바꾸지 못하는 것이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값은 단순 숫자 뿐만 아니라 문자나 불리안 모두 해당한다.
파이썬에서는 따로 상수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Const라던가) 우리가 아는 상수라고 말하기보다는 그냥 하나의 변수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으나 암묵적으로 상수로 취급할 것은 모든 글자를 대문자와 _로 구분하여 선언한다고 한다. 에디터들도 대문자와 _로만 선언된 변수의 값을 바꾸는 행위를 할 경우 대부분 경고를 내준다고 한다.
파이썬에서 변수를 만드는 방법은 매우 쉽다. C언어의 경우 내가 만들 변수가 어떤 자료형인지 선언할 때 앞에 따로 명시해줬어야 한다.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그런 것 없이 알아서 처리해주는 느낌이기 때문에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변수에 값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a = 3
b = "Hi"
c = True
이런식으로 a라는 변수에 3이라는 숫자를 저장하겠다. b라는 변수에 Hi라는 문자를 저장하겠다. c라는 변수에 True라는 불리안을 저장하겠다를 표현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a라는 변수를 통해 3이라는 값을 얻어낼 수 있으며 b라는 변수를 통해 "Hi"라는 값을 얻을 수 있다.
이제 위에서 말한 자료형에 대해서 말해보도록 하겠다.
숫자를 나타낼 수 있는 자료형들에는 int(정수)와 float(소수)가 있다.
a = 3
b = 3.14
print(type(a))
print(type(b))
위와 같이 a와 b에 숫자를 나타내는 값들을 저장한 후 이 변수들의 타입을 출력하였을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출력을 볼 수 있다.
<class 'int'>
<class 'float'>
우리는 별다른 작업을 해주지 않아도 파이썬에서 알아서 a는 정수인 integer(int)로 b는 소수인 float으로 저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자를 나타낼 수 있는 자료형은 string이다.
C언어를 한 사람은 문자와 문자열을 각각 '문자' 와 "문자열"로 구분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파이썬을 하는 우리는 이를 구분할 필요가 없다.
파이썬에서 문자는 ' 작은 따옴표나 " 큰 따옴표로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작은 따옴표로 처음 시작을 했다면 마무리도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여야 하고 큰 따옴표로 시작을 했다면 큰 따옴표로 마무리를 해야한다는 점이다. 본인은 주로 큰 따옴표를 쓴다.
a = "Welcome"
b = "J"
c = Hi #에러
print(type(a))
print(type(b))
위 코드를 보면 c = Hi 라고 적은 부분이 있을 것인데 이는 에러를 일으킬 것이다. 따옴표들은 이것이 문자열이라고 표현해주는 것인데 이 따옴표가 없으면 파이썬은 Hi라는 변수라고 이를 인식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Hi라는 변수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에러가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위 코드에서 c를 빼고 출력을 돌려보면 결과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class 'str'>
<class 'str'>
보다시피 Welcome이라는 한 글자 이상의 단어나 J라는 한 글자나 string(str)이라고 타입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파이썬에는 불리안이라는 자료형도 있다.
boolean은 True나 False 즉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둘 다 첫 글자가 대문자로 작성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a = True
b = False
print(type(a))
print(type(b))
위와 같이 첫 글자를 대문자가 아니라 true와 같이 소문자로 적을 경우 에러가 날 것이다.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class 'bool'>
<class 'bool'>
이제 여기서 헷갈리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엥 왜 True와 False는 따옴표로 감싸주지 않았지?"
위에서 설명했지만 따옴표로 감싸는 것은 이것이 문자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True와 "True"는 전혀 다르다.
a = True #<class 'bool'>
b = "True" #<class 'str'>
이 점 헷갈리지 않기를 바라며 다음 설명으로 넘어가겠다.
이제 조금 생소할 수도 있는 타입도 있다. 바로 NoneType이다.
a = None
print(type(a))
이를 실행하면
<class 'NoneType'>
이 출력될 것이다.
None은 True False와는 다른 개념이다. 아무것도 없다라는 것을 칭하는 상태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이런 자료형을 왜 배우나 궁금할 수도 있겠으나 분명히 언젠가는 쓰인다. 어떤 작업을 했을 때 해당하는 경우가 없을 경우 그 결과가 None인지 아닌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들도 있다.
굳이 C언어에서 비슷한 것을 찾으라고 한다면 NULL 같은 느낌이라고 말할 수 있겠으나 동일하지는 않다.
후에 배울 리스트(list), 튜플(tuple), 딕셔너리(dictionary)도 자료형이다. 이들은 나중에 다뤄보도록 하겠다.
다음 시간에는 표준 입출력을 공부해보도록 하겠다.
질문, 오타 지적, 오류 지적 등은 댓글로 환영합니다.
'[Python] > [Python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레인지 (0) | 2021.03.27 |
---|---|
[파이썬 기초] 파이썬의 표준 입출력 (0) | 2021.02.26 |
[파이썬 기초] Python 시작하기 (0) | 2021.02.23 |